2025 근로장려금, 부모님이랑 같이 살면 받을 수 있을까? (가구원 조건)

Rate this post

많은 분들이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을때, 재산과 연 소득이 합산되면 못 받을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근로장려금 지급 시 부모님이 가구원에 포함이 안된다면 충분히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 및 조건 요약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하게 2025 근로장려금 신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내용
종류 및 신청 횟수정기 (1년 1번) / 반기 (1년 2번)
대상-근로자
-사업자 (자영업자)
-종교인
신청 기간정기: 5월 / 반기: 9월, 내년 3월
지급일정기: 9월 / 반기: 신청 후 3개월
재산 기준2억 4천만원 미만
연 소득 기준2,200~4,400만원
(가구 유형별 상이)

재산, 연소득 기준에 충족되어야 근로장려금 신청이 가능하며, 가구 유형에 따라 최대 330만원까지 지급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랑 같이 살았을때, 근로장려금 조건

부모님과 같이 산다면, 가구원으로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근로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가구원으로 인정되면 부모님의 재산과 연 소득이 합산되면서 신청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근로장려금에서 말하는 가구원으로 인정하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가구원 인정 기준

아래 3가지 요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가구원으로 인정됩니다.

  1. 만 70세 이상
  2. 부모님의 연 소득금액 100만 원 이하
  3. 동거 요건 충족 (주민등록상 같은 주소에 있을 것)
    • 자취하더라도, 주민등록상 같은 주소면 동거로 판단

즉, 하나라도 충족이 안된다면 가구원으로 인정되지 않아, 재산이나 연 소득을 합산하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과 같이 사는 경우,

  • 부모님 70세 이상 + 소득 100만 원 이하가구원 인정 = 홑벌이 가구
    → 부모님의 재산도 포함
  • 부모님 70세 미만 또는 소득이 100만 원 초과가구원 아님 = 단독가구
    → 부모님의 재산 포함 안 됨

단독가구로 분류된 경우, 재산과 연 소득이 합산되지 않아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지만 홑벌이 가구에 비해 지급액이 낮아지는 단점있습니다.

추천!2025년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이 궁금하다면?

👉 2025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대상 및 최대구간 총정리

※ 가구 유형을 잘 모르겠다면 아래 플로우차트 활용

근로장려금 가구원 유형 플로우차트 (가구원 판단이 애매해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자주 묻는 질문들 – FAQs

부모님 명의로 된 부동산이 많은데, 저한테 영향 있을까요?

이 경우 단독가구로 분류된 경우 재산 합산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부모님 명의의 집이나 토지, 예금 등이 아무리 많아도 신청자의 근로장려금 산정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월세(자취) 사는데, 부모님 명의 집 주소에 주민등록만 같이 되어 있으면 어떻게 되나요?

이 경우, 부모님과 주민등록상 주소가 같기 때문에 동거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별도로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세무서 판단에 따라 가구원에서 제외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주민등록상 주소를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자취 중이라도 부모님이 요건을 충족하면 가구원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장애인인 경우에도 나이 요건(70세 이상)을 충족해야 하나요?

장애인 부모님의 경우에는 나이 요건을 따지지 않아도 됩니다. 즉, 만 70세 미만이더라도 장애인 등록이 되어 있고, 소득이 연 100만 원 이하이며,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고 있다면 부양가족으로 인정됩니다.

부모님과 형제가 함께 살고 있어요. 이런 경우, 부모님 재산이 제 장려금 신청에 영향 있나요?

형제들과 함께 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경우라면 누가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신고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부모님이 특정 형제의 가구원으로 포함되면, 다른 형제의 근로장려금 산정에서는 제외됩니다.

부모님 명의 집에 세대분리하면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나요?

반드시 부모님과 다른 세대로 분리되어 있어야 단독가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세대분리를 했더라도 국세청은 실제 거주 여부나 생계 여부를 추가로 판단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모님이 기초연금을 받고 있어도 부양가족으로 포함되나요?

기초연금은 과세 대상 소득이 아니기 때문에, 연 소득금액 100만 원 초과 여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부모님이 외국 국적일 경우에도 가구원으로 인정되나요?

근로장려금은 내국인 기준으로 가구원을 인정합니다. 따라서 가구원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부모님과 같이 살았을때 근로장려금을 신청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 부모님과 함께 살면 집,자동차..등이 재산이 같이 합산된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하지만 홑벌이가구 또는 맞벌이 가구로 판정되게 되면 합산되기 때문에 확률이 조금 줄어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어떤 가구 유형에 해당되는지, 재산과 연 소득이 합산되는지..등 정확하게 판단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더 많은 지급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